Kotlin 공식 문서를 보고 정리했다. 공식 문서 참조. property들의 값을 get(), set()으로 구현해야 하는 경우, 같은 형태의 property가 필요하면, 각 property마다 get(), set()을 구현해야 한다. 이런 경우, 한번만 구현해서 중복을 제거하면 좋을 것이다. 이는 delegate를 통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케이스들이 존재한다. 이런 경우들을 위해, Kotlin에서는 delegated properties를 지원한다.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by’ 키워드가 사용되고…
[태그:] property
OOP: property
Kotlin을 보다가 backing field를 접하며, 이게 뭔가싶었는데 다른 언어들도 다 지원하는 property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동안 솔직히 member variable과 property에 대한 개념이 따로 없었음. 아… 부끄럽네. 아뭏튼 정리해보도록 한다. property는 간단히 말해, member variable에 대한 encapsul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클래스를 작성할 때, 값을 저장할 변수를 만들고 의식적으로 getter, setter를 만들어 주고 있었지만, 이를 언어 레벨에서 지원하는게…